부산에 있는 터미널 중 이번에는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부산 동부시외버스터미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터미널에 대해 알려드리기 전에 순서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터미널 정보
- 예약 방법
- 승차장 위치
- 시간표와 요금 정보
- 가는 방법(자가용)
- 가는 방법(버스 및 지하철)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터미널 이름이 서부시외버스터미널 또는 사상터미널, 서부터미널이라고 부른다면, 여기는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해 있어서 동부시외버스터미널 또는 동부터미널, 노포동터미널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터미널은 아주 오래 전에 고속버스터미널하고 시외버스터미널하고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1960년 서구 충무동이 시초였다고 하며, 교통체증등으로 인해 10년 후 1970년에 동구 범일동으로 이전을 했었습니다.
시외버스터미널은 자유시장 뒷편, 고속버스터미널은 시민회관 옆으로 이전을 했으나, 범일동 일대 역시 개발로 인해 교통정체가 유발되었고, 터미널 이전을 다시 추진을 했었습니다.
당시에는 버스 수요가 워낙 많았던 터에 터미널을 쪼개는 것이 대세라 결국 고속버스터미널은 1983년 동래구 온천동에,
시외버스터미널은 1985년에 동부와 서부를 분리시켜 서부는 사상구 괘법동에, 동부는 동래구 명륜동 일대로 이전을 했습니다. 한때 위치는 이랬습니다.
고속버스터미널은 한때 부산광역시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34(온천동)
시외버스터미널은 한때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393(온천동)
이후 꽤 오랫기간 동안 고속버스터미널이랑 동부시외버스터미널,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체계가 유지되었으나, 문제는 이전한 곳들 역시 부산의 부도심격이었던 탓에 정체가 다시 심각하게 유발되었다고 하며, 서부터미널 같은 경우는 고속도로 접근성이 워낙 좋아 살아남았지만 고속터미널과 동부터미널 같은 경우는 시설의 협소함 및 주변 도로 헬게이트 등으로 인해 도저히 터미널을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결국 고속버스터미널이랑 동부터미널은 경부고속도로와 가까운 금정구 노포동에 짓기로 결정하고 2000년에 착공해 2001년에 완공을 했으며, 완공과 함께 두 버스 터미널은 통합하면서 고속버스랑 시외버스는 노포동에 위치한 터미널에서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완공하는 과정에서 노포역이 터미널과의 연결을 위해 3개월 동안 영업을 중지하기도 했었다고 합니다.
▲ 위 영상은 1995년 ~ 1999년 시절 동부터미널이랑 서부터미널 시절 영상입니다.
부산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정보
이번에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알려드릴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터미널 정보에약 방법구조 설명승차장 위치버스 시간표와 요금가
thisismyphoto.tistory.com
전국의 버스 터미널 중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 유스퀘어 다음으로 긴 승차장 길이를 자랑합니다.
그리고, 한때 최다 소요시간 노선도 보유하고 있었는데 바로 13시 정각에 출발하는 부산발 속초행 동해안 완행노선이었습니다. 이 노선은 대한민국의 시외버스 노선 중 최대 소요시간과 최대 경유지를 자랑했던 노선이었지만, 2019년 6월 24일부로 부산 - 속초 완행 노선은 폐지되었습니다.
고속버스 예매와 시외버스 예매 사이트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s://kobus.co.kr/main.do
kobus.co.kr
▲ 고속버스 전용 예매 사이트
버스타고
www.bustago.or.kr
▲ 시외버스 전용 예매 사이트
승차장 위치
! 주의 !
설날 및 추석 등 명절 특송기간의 경우 터미널 임의로 승차홈이 부득이 변경될 수 있다고 합니다.
승차장이 본관하고 별관하고 나뉘어져 있으며, 본관은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버스 승차장이며, 별관은 시외버스 승차장 및 고속,시외버스 하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속버스터미널 승차홈
01번 승차홈 : 용인(신갈 포함) / 02번 승차홈 : 순천 , 여수
03번 승차홈 : 미사용 / 04번 승차홈 : 광주
05번 승차홈 : 전주 / 06번 승차홈 : 미사용
07번 승차홈 : 논산 , 연무대 / 08번 승차홈 : 동대구(용계역 포함)
09번 승차홈 : 미사용 / 10번 승차홈 : 미사용
11번 승차홈 : 청주 / 12번 승차홈 : 성남
13번 승차홈 : 인천 /14번 승차홈 : 동서울
15번 승차홈 : 서울경부 / 16번 승차홈 : 미사용
17번 승차홈 : 미사용
3번 승차홈 같은 경우는 여수행 승강장으로 사용했으나, 2024년경 부산 - 순천, 부산 - 여수행 버스가 부산 - 순천 - 여수행 버스로 통합되면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6번 승차홈 같은 경우는 예전에 경주행 승강장으로 사용했었습니다.
9번 승차홈은 예전에 대전복합행 승강장으로 사용했었으며, 10번 승차홈은 예전에 세종행 승강장으로 사용했었습니다.
시외버스터미널 승차장
20번 승차홈 : 인천국제공항 , 송도 / 21번 승차홈 : 익산 , 군산 , 여주 , 이천
22번 승차홈 : 오산 , 수원 , 안산 / 23번 승차홈 : 진주
24번 승차홈 : 마산 / 25번 승차홈 : 창원 , 진해
26번 승차홈 : 포항(무정차) , 태백 , 고한 / 27번 승차홈 : 포항(경주경유)
28번 승차홈 : 포항(무정차) , 삼척 , 동해 , 강릉 , 속초 , 거진 / 29번 승차홈 : 광양 , 동광양
30번 승차홈 : 통도사 , 언양 / 31번 승차홈 : 통도사 , 언양
32번 승차홈 : 미사용 / 33번 승차홈 : 미사용
34번 승차홈 : 미사용 / 35번 승차홈 : 남마산 , 통영 , 거제(고현)
36번 승차홈 : 영천 / 37번 승차홈 : 안동 , 영주 , 제천
38번 승차홈 : 원주(무정차) , 횡성 , 홍청 , 춘천 / 39번 승차홈 : 구미 , 상주 , 점촌 , 문경 , 수안보 , 충주
번호 없음 : 고속 , 시외버스 하차장
시간표와 요금 정보
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와 요금정보 그리고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와 요금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주식회사
www.bxt.co.kr
▲ 고속버스 시간표와 요금 정보 사이트
부산동부버스터미널
인천공항 오산 수원 안산 이천 원주 홍천 춘천 안동 동해 강릉 속초
www.dbterminal.co.kr
▲ 시외버스 시간표와 요금 정보 사이트
가는 방법(자가용 및 택시)
자가용을 이용해서 터미널에 오신다면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옆에 있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터미널 주차장 위치는 이렇습니다.
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 요금 | 무료 |
기본 요금 | 기본 30분 1,000원 (추가요금 = 1~10분 마다 300원 추가) |
당일 요금(하루 주차) | 7,000원 |
운영시간은 평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모두 24시간 운영 합니다.
부산 시내방향으로 오시는 분들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주차장을 이용하시지 마시고 노포역공영주차장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덕계 방향으로 오시는 분들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셔도 되고, 노포역공영주차장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부산시내 방향에서 노포역공영주차장을 이용하시고 싶으시면 해당 사진에서 좌회전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 있는 주차장을 이용하시고 싶으시면 해당 사진에서 유턴을 해서 입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노포역공영주차장 요금 및 시간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차장 기본요금 | 200원 |
주차장 추가요금 | 10분 마다 200원 |
1일 주차 | 4,700원 |
월 주차 | 주간 : 50,000원 야간 : 40,000원 |
운영 시간은 일 ~ 토요일 및 공휴일 모두 24시간 운영합니다.
노포역공영주차장 위치는 이렇습니다.
택시를 이용하신다면 아래의 표를 보고 택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일반택시 | 기본 요금 4,800원(2km) |
추가(병산제) 100원(34초/133m) | |
할증 30%(시외) / 복합할증 40% | |
모범택시 / 대형택시 | 기본 요금 5,000원(3km) |
추가(병산제) 200원(34초/141m) | |
할증 없음(야간/시외) |
가는 방법(버스 및 지하철)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앞까지 오는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 29번 , 49번 , 50번 , 51번 , 80번 , 131번 , 148번 , 300번 , 301번 |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 1002번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금정구 2-2 , 기장군 2-3 |
양산시 시내버스 | 17번 , 17-1번 , 58번 , 59번 , 60번 , 61번 |
위에 해당하는 노선들은 중앙대로에 위치하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정차합니다.
특히, 51번이랑 1002번은 심야버스로도 운행하기 때문에 심야에 오신 분들은 부산 시내로 갈 때 두 노선 중 하나를 이용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 37번 , 90번 |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 2100번 , 2300번 |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 1144번 , 1154번 , 1214번 , 1224번 |
위에 해당하는 노선들은 노포역 환승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정차합니다.
참고로 37번이랑 90번은 부산 시내방면으로 가지 않으며, 37번은 기장군 정관읍쪽으로, 90번은 범어사로 가기 때문에 시내 방면으로 가려면은 중앙대로에 위치하고 있는 버스 정류장에 가서 버스를 타야합니다.
예전에는 49번이랑 148번이 노포역 환승센터에서 운행을 했으나, 두 노선이 소속되어 있던 삼신교통이 금정공영차고지로 입주하면서 차고지까지 연장되었고, 2016년 6월 25일부로 철수하게 되었습니다.
부산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이 종합버스터미널하고 인접해 있으며, 노포역 부역명도 종합버스터미널로 되어 있습니다.
노포역 3번 출구하고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부산 시내로 가고 싶으시다면 노포역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다대포해수욕장역 첫차는 오전 5시 8분이며, 막차는 오후 11시 16분 입니다. 노포발 신평행 막차는 오후 11시 31분으로, 다대포까지 가야되는데 다대포 막차가 지나갔다면 일단 신평행 막차를 타고, 중간에 1000번이나 택시를 타면 다대포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신평행 막차조차 타지 못했다면 사실상 택시하고 새벽 12시 40분까지 운행하는 심야 양산버스 12번 뿐인데, 이마저도 명륜역까지 운행하며, 만약에 내가 가야 될 곳이 노포이남 시내지역이라면 어쩔 수 없이 택시를 타야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정보 (0) | 2025.04.01 |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정보 (1) | 2025.03.28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정보 (0) | 2025.03.27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정보 (0) | 2025.03.26 |
하동버스터미널 정보 (0) | 2025.03.25 |